함석헌이 말하는 종교란

Think 2013. 4. 2. 14:49

 참 종교는 뿌리 찾자는 것입니다. 
함석헌, 철학 | 2010/06/11 06:30 함석헌평화포럼

“참 종교는 뿌리 찾자는 것입니다”

함석헌
에 따르면, 종교의 목적이란 “정신적인 문제를 일깨우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종교가 인간의 육체뿐만 아니라 이성과 정신을 말살하고 오로지 영혼을 구원하겠다는 일념으로 일관할 때에 생기는 것은 인간을 넋빠진 몸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겁니다. 종교가 건강하기 위해서는 육체와 이성 혹은 정신의 조화를 이룰 때 가능한 것입니다.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현상은 종교가 인간을 괴이한 생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지나치게 영혼을 강조하는 종교일수록 더 현실적이며 물질중심의 삶에 사로 잡혀 있는 경우를 봅니다. 또 그와는 반대로 종교가 인간의 현세적, 육체적 삶을 강조하다보면 이성과 정신이 나약해져서 자신의 삶을 통제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함석헌 “종교는 인간의 육체적, 정신적 모든 활동의 절정에 서는 것”이라고 말한 것입니다. 인간의 정신적 활동의 산물이나 육체적 소산으로 종교가 등장한 것이 아니라 그 둘의 역사적 과정을 통해서 인간 삶의 가장 중요한 좌표를 그려주는 역할을 한다는 말입니다. “종(宗)은 마루나 맨 꼭대기에서 모든 것을 통일, 곧 하나로 만들기 때문에 마루라 한다.” 

종교란 그 원형으로서의 뿌리를 찾아 자아의 바탈을 드러내며 완성하도록 해줍니다. 그것은 함석헌이 말한 것처럼, “생명”[삶숨]과도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생명은 자기 실현하자는 것, 자아의 본성 바탈을 드러내자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생명과 생각, 그리고 정신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그 근본으로 돌아가려는 의지를 쉼없이 분출합니다. 자기가 나온 곳으로 돌아-옴, 종교는 바로 그 돌아갈-곳을 일러주고 깨우쳐주는 역할을 합니다. 중심에서 벗어나려는 비본질적인 삶을 지양하고 그 뿌리를 지향하도록 해주는 것이 종교라는 말입니다. “생명의 가장 높은 운동은 돌아옴이다. 생각이란, 정신이란, 창조주에게서 발사된 생명이 무한의 벽을 치고 제 나온 근본에 돌아오는 것이다.” 

함석헌은 이러한 근본 찾기 운동을 “종교의 수직운동”이라고 말합니다. “종교적 인간은 지면에서 뻗어나가잔 인간이 아니요, 위로, 하늘로 올라가잔 인간이다. 고로 종교의 이상은 높음에, 거룩함에, 곧음에다. 종교는 수직운동이다.” 종교의 수직적 상승 운동이 인간이 지향해야 할 삶의 자세라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인데, 땅의 현실을 외면하자거나 현실도피를 하자는 말이 아니라 인간의 초월적 삶의 자세가 더 우선이라는 말을 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인간의 자기 초월적 삶이 종교가 추구해야 할 목표라는 것입니다. 이것은 비단 종교적 인간 혹은 신을 믿고 있는 인간에게만 해당이 되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모름지기 인간이란 하늘을 향한 유한자의 수직적 상승과 초월자로부터의 수직적 하강이라는 상호작용 속에서 살아야 사람과 사람, 인간과 자연의 수평적, 관계적 삶도 가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가 “사람은 자기 초월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자기부정을 하지 않고 자기 초월은 못한다”고 말한 것은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입니다. 

삶의 근본적인 변화, 근본적인 깨우침은 급진적인 것입니다. 공교롭게도 근본적이라는 의미와 급진적이라는 말은 모두 영어의 radical로 통합니다. 그러나 종교적 보수주의를 일컫는 종교적 근본주의와는 다른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종교근본주의(fundamentalism)은 교리수호적이며, 체제수호적인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에 타종교에 대해 매우 배타적인 태도를 취하고 더 나아가 자신의 종교를 옹호하고 변론하기 위해서 공격적, 호전적 행동도 마다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기에 반하여 그 종교가 급진적이라는 것은 종교 그 고유의 근본 즉 종교의 정신적 뿌리를 추구하기 때문에 붙여진 말입니다. 다시 말해서 종교가 갖고 있는 그 고유의 뿌리와 정신을 다시 찾아보겠다는 의지와 더불어 종교적 창시자의 영성을 체득해보겠다는 미메시스적 몸부림의 표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칼 마르크스(K. Marx)는 급진적이라는 말은 “사물을 뿌리에서부터 보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습니다. 어느 시대이고 종교는 자신의 근본을 끊임없이 되새기고 그것을 실천하려고 노력을 해왔습니다. 

그러나 종교적 사유는 종교적 실천에 앞서 그 뿌리, 그 본질을 보는 것이 먼저입니다. 함석헌은 말합니다. “내가 사는 것은 까닭이 있어 사는 것 아니다. 그저 살고 싶어 사는 것이다. 하나님이 살라시니까 산다든지 하나님을 산다든지 하는 말은 결국 까닭 없다는 말이다. [......] 정신에는 까닭 없다. 하나님은 까닭 없이 있는 이다. 그러므로 나는 그저 있어서 있는 자라 한다. [......] 정신은 까닭 없이 있어 모든 그의 까닭이 되는 것이다.” 까닭 없는 정신, 까닮 없는 삶숨, 까닭 없는 인생 등의 모든 뿌리는 바로 인간의 밑바닥에서 까닭 없이 있는 존재라는 말은 아닐까요? 어쩌면 더 신비적으로 는 기계적이고 과학적인 인식을 넘어서 “까닭 없음 그 자체를 깨우치는 것”, 그것이 삶의 궁극 목적이자 종교의 뿌리 찾기는 아닐런지요.(김대식, 2010. 6.10) 

'Think'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의 무능성  (0) 2013.04.02

과학의 무능성

Think 2013. 4. 2. 14:47

작성자 : 허리우스    작성일 : 2008년 08월 14일


프레시안에 연재중인 최무영의 글을 오래간만에 옮긴다. 과학의 무능성이라는 말이 인상적이어서이다. 사실 전문화되고 세분화된 어느 영역에서나 이 무능성이라는 말은 적용될 수 있지 않을까싶다. 그건 철학도 예외가 아니다. 철학의 만능성 혹은 철학의 유용성 혹은 필요성만을 주장할 것이 아니라 무능성 혹은 무용성 혹은 유해성도 주장해야하지 않을까.

과학의 위험성
  
  현대기술은 과학을 응용한 것으로서 물질문명을 낳았습니다. 과학은 기술과 영향을 주고받았고 현대기술을 낳았지만, 본질적으로는 정신문화라고 강조했지요. 대체로 우리는 정신문화를 과학보다는 문학, 예술, 철학, 종교 같은 것들로 생각합니다. 과학은 기술과 함께 묶어서 물질문명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요. 여러분은 그동안 많이 공부했으니 이제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으리라 믿습니다.
  
  정신문화의 범주에는 과학과 함께 흔히 생각하는 문화, 예술, 철학, 종교 등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문학과 예술은 별로 그렇지 않지만 철학이나 종교는 역사적으로 과학과 가끔 충돌한 경우가 있습니다. 대체로 과학의 합리주의와 종교의 초월주의 사이의 갈등인데, 철학도 근대와 달리 중세의 철학은 초월주의 경향을 갖고 있기 때문이지요.

  

 

 

 


  앞에서 소개한 러셀의 저서 중에 ≪종교와 과학(Religion and Science)≫이라는 짧은 논고가 있습니다. 부제목은 '독단과 이성의 투쟁사'이지요. 러셀은 철학과 수학에 중요한 업적이 있고, 물리학에도 상당한 조예가 있었다고 지적했지요. 정치가라고도 할 수 있을 듯하고 교육자로서 상당한 교육철학의 저서도 남겼습니다. 작가로서 노벨 문학상도 받았지요. 무엇보다도 행동가여서 감옥에 가기도 했습니다. 베트남 침략전쟁을 반대하는 운동으로 널리 알려졌고, 나이가 많이 들어서 무려 80세일 때에도 시위에 참여했다고 합니다. 이른바 빨갱이로 낙인찍혔는데, 놀랍고 흥미로운 사람이지요. [러셀은 30여 년 전에 타계했는데 현재 이와 비슷한 느낌을 주며 활동하고 있는 사람으로 촘스키(Noam Chomsky)를 들 수 있겠습니다. 원래 언어학자로서 20세기 언어학에서 최고의 업적으로 꼽히는 변형생성문법(transformational generative grammar)으로 유명하지요. 언어철학과 심리학에도 업적이 있는데 요새는 활발한 정치 비평, 특히 미국의 대외 정책의 위선과 야만성을 폭로하는 행동가로 더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많은 저서가 한글로도 번역이 되어있지요. 그의 강연회에서 만나서 인사를 나누었던 기억이 납니다. 최고의 지성으로 꼽히고 있는데 아무래도 '미국적'이라는 어쩔 수 없는 한계는 - 내가 '한국적'인 한계를 지녔듯이 - 지니고 있다고 느꼈어요.]
  

 

 

 

 

 


  과학에 대해 그릇된 인식은 이른바 과학만능주의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그런데 과학만능주의는 희한하게도 종종 종교와 만나곤 합니다. 러셀의 저서를 독단과 이성의 투쟁사라고 했는데 물론 독단이란 종교를 가리키고이성은 과학을 나타냅니다. 여기 종교를 믿는 학생들이 물론 있겠는데 여기서 독단이란 종교의 독선주의, 배타주의를 말합니다. 잘못된 의미의 종교지요. 그러나 현대사회에서는 러셀의 의미에서 독단과 이성이 만나서 투쟁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도리어 과학과 종교가 사이좋게 잘 만나는 듯합니다. 그런데 이는 그릇된 인식에 바탕을 둔 과학과 기술인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과학만능주의는 이성이 아니라 독단으로서 문제가 심각하다 하겠습니다. 과학과 종교의 사이좋은 만남이란 것이 사실은 독단과 독단의 만남인 셈이니 어떻게 되겠어요? 당연히 끔찍한 일이 벌어지지요. 전형적인 예가 바로 미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실로 일어난 대표적 현상이 이라크 침략이겠지요. 과학만능주의가 종교의 배타주의, 초월주의와 만나서 미국의 세계 지배 전략이라는 것을 뒷받침해서 얻어진 끔찍한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실 가장 걱정되는 과학의 미래입니다.
  
  그런데 과학에서 잠재적으로 더욱 큰 위험성은 무능함이라고 생각합니다. 위에서 예로 든 과학만능주의의 문제점은 기술과 관련되어 비교적 명백하게 나타나므로 쉽게 인식이라도 할 수 있지만, 독단이 아닌 정상적인 과학의 무능함은 인식하기 어렵습니다. 현대사회에서 정상과학은 워낙 세세하게 나뉘어 있고 전문화되어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무능해졌어요. 제대로 된 과학자라고 해도 사실은 아는 게 별로 없습니다. 대부분 매우 좁은 전문분야의 지식밖에 알지 못합니다. 예를 들어 물리학에도 여러 분야, 곧 입자물리, 원자핵물리, 원자분자물리, 응집물질물리, 그리고 통계물리 따위가 있습니다. 그런데 응집물질물리학자라고 해도 응집물질에 대해 다 아는 것이 전혀 아닙니다. 응집물질 중에도 초전도체, 반도체, 금속, 자성체, 강상관계, 흐름체, 무른 물질 따위 여러 주제가 있는데, 보통 그 가운데에서 한 가지만 알지요. 그 한 가지에서도 대부분은 극히 일부만 압니다. 너무 세분화되고 전문화되어 있기 때문에 깊으면서도 넓게 안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지요. 따라서 좁은 주제에 대해 극히 일부분만 알게 되고 멀리 넓게 전체를 내다보는 조감을 지닌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전체를 보고 판단할 수 없으면 무능할 수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일의 진행이 위험한지 판단한다고 합시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위험성이라는 것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정말로 위험한지 아닌지는 대부분 모릅니다. 특히 전체를 고려하지 않고 좁게 대상 자체만 보면 제대로 판단할 수 없지요. 여기서 위험한지 아닌지 잘 모르는 경우에는 당연히 판단을 유보하고 그것을 예의주시해야 할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혹시 위험할 수도 있다는 것이니 판단을 유보해야 하는데, 현실에서는 '위험성 없음'으로 결론을 내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험성 없음으로 판명된 것이 아닌데도 위험하다는 증거가 없으면 대체로 위험성이 없다고 받아들이지요. 위험하지 않다는 증거 또한 없는데도 그렇습니다.
  
  대표적으로 이미 논의한 핵발전과 핵폐기장, 그리고 우리 일상생활에 특히 중요한 유전자변형유기체를 들 수 있습니다. 우리 일상에서 이른바 유전자 조작 식품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여러분이 점심에 먹은 음식도 십중팔구 유전자를 조작하여 변형한 생물체로 만들었을 겁니다. 햄버거로 상징되는 간편하게 먹는 쓰레기음식(junk food)은 직간접적으로 상당 부분 유전자변형유기체를 사용합니다. 이것이 해로운가 아닌가는 완전히 확정된 결과가 없습니다. 강조하지만 위험하지 않다고도 확정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안전하다는 증거가 필요한 것인데 일상에서는 위험이 입증되지 않았으니 문제가 없다며 마구 팔고 있습니다. 이에 반대하면 위험하다는 증거를 대라고 강변하지요. 그런데 사실은 동물 실험에서 위험하다는 실험적 증거가 있는데 이를 감추고 왜곡해서 선전하고 있다고 합니다. ≪네이처≫ 잡지던가요? 심사가 통과되어 게재하기로 했던 실험 결과가 편집자에 의해 취소되고 어이없게 정반대 결과의 논문이 실린 예도 있지요. 이러한 직접적인 위험성뿐 아니라 제어하지 못하는 교차수분의 위험성, 유전자 오염과 생물 다양성 훼손 등은 어떠한 결과를 가져올지 알 수 없습니다. 파국이 올 수도 있지요.
  
  현재 세계에서 유통되는 유전자변형유기체의 다수가 미국에서 만들어진 것인데 특히 몬산토(Monsanto)회사가 악명이 높지요. 이 초국적 기업은 베트남 침략 전쟁 당시 고엽제로 이름을 떨쳤고 - 이 때문에 아직도 고통 받는 사람들이 많지요 - 유전자를 조작해서 번식을 하지 못하는 콩과 허위 선전으로 독성 제초제를 팔고, 판매한 돼지가 낳은 새끼들에까지 특허권 소송을 걸고 독극물을 방류하는가 하면 어린이를 포함한 노동력 착취 등 화려한 활약을 자랑합니다. 이 대부분이 미국이 아닌 다른 나라, 주로 개발도상국에서 이루어지는 반면 미국에서는 디즈니랜드(Disneyland)와 손을 잡고 있으며 - 양의 탈이 생각나지요 - 막대한 정치자금을 제공하고 엄청난 로비를 통해 정치권력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사실 그 실상을 알면 너무나 놀랍다고 할 수밖에 없어요. 이 외에도 여러 미국의 기업들이 악명을 떨치고 있습니다. (사실 디즈니랜드의 진실을 보면 그 자체가 전형적인 양의 탈이지요.)
  
  환경오염과 관련해서 대기에 미세먼지가 얼마고, 일산화탄소나 질소산화물이 얼마 있는데, 이는 기준값보다 낮으니까 안전하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엄밀하게는 기준값보다 낮다고 해서 좋다는 것이 아닙니다. 어떤 기준을 가지고 기준값을 정했는지도 문제가 있지만 그 의미를 잘못 이해할 수 있습니다. 기준값보다 높으면 크게 해롭다는 뜻이고, 기준값보다 낮아도 일반적으로 해가 없는 것이 아니라 그리 크지는 않다는 것이 정확한 의미입니다. 그러니 기준값보다 낮다고 무조건 안전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습니다. 가공식품에 많이 쓰는 첨가물도 마찬가지지요.
  
  그런 예가 매우 많습니다. 위험성 관계가 불확실하다고 해서 위험하지 않다고 간주하는 행위가 얼마나 위험한지 보여주는 예가 앞 강의에서 언급한 광우병입니다. 광우병은 소에게 고기, 곧 동물의 사체를 먹여서 발병했지요. 풀을 먹고 살아야하는 소에게 고기를 먹인 것은 인간의 탐욕 때문입니다. 소를 빨리 키우고 무게를 늘려서 비싸게 팔고 젖소에게 최대한 많은 젖을 짜내어 이익을 늘리려고 양을 비롯한 동물의 사체를 갈아서 사료에 섞여 먹였지요. 그런데 양에게는 두뇌의 신경그물얼개 조직이 스펀지 모양으로 구멍이 숭숭 뚫리는 스크래피(scrapie)라는 해면상뇌증이 있었는데 그 양을 갈아 먹인 소에 옮겨서 광우병이 생겼다고 여겨집니다. 심지어 소의 사체도 갈아 먹였으니 소끼리 옮겨졌는데 이는 사람에게 사람을 먹인 셈입니다. (사람의 사체를 먹어서 걸리는 쿠루(Kuru) 병과 흡사한 조건이 되었네요.) 광우병 인자를 가진 소가 발병할 때까지 시간이 상당히 걸리는데 그 사이에 인간이 그 소를 먹으면 옮아서 변종 크로이츠펠드-야콥병, 이른바 인간광우병에 걸리게 되지요. 감염된 후 10∼20년, 때로는 30년이 지나서 발병할 수 있으니 여러분도 쇠고기를 먹고 나서 30년은 지나봐야 그 쇠고기가 문제가 없는지 안심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양을 먹인 것이 그런 무서운 결과를 가져오리라고는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습니다. 당연히 상상할 수조차 없었지요. 이미 말했지만 광우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는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같은 미생물이 아니라 프리온 흰자질입니다. 생명체는 물론 아닌데 우리 몸속에 들어가서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번식해서 뇌를 파괴합니다. 병에 걸린 소의 뇌나 척수를 비롯한 신경조직에 많지만 피나 살코기에도 소량 있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워낙 극소량으로 발병할 수 있어서 먹지 않아도 수혈이나 혈액제제, 심지어 젤라틴을 포함한 화장품과 수술실 등 가공품으로도 감염될 수 있다고 하지요. 일단 걸리면 고칠 수 없고, 늦추는 방법도 없습니다. 끔찍한 고통과 죽음밖에 길이 없지요. 영국에서 처음 환자가 생겼는데 세계적으로 앞으로 얼마나 많은 사람이 걸리게 될지 아무도 모릅니다. 수만 또는 수십만 명이 걸리게 될 거라는 비관적인 예측도 있고, 일반 (산발성) 크로이츠펠드-야콥병(sporadic Creuzfeld-Jacob disease; sCJD)은 물론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흔히 치매라고 알려진 사망자의 상당수가 사실은 인간광우병이라는 견해도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 몇 해 사이에 미국에서 알츠하이머 환자가 수십 배로 급증했는데, 일반적으로 진단방법이 발전했기 때문이라고 하지요. 그러나 환자의 병력이 길지 않은 경우 사망 후 부검하지 않으면 알츠하이머병인지 인간광우병 따위 해면상뇌증과 관련이 있는지 확진하기 어렵습니다.
  
  아무튼 그런 결과를 낳을 거라고 아무도 알지 못했습니다. 흰자질이 스스로 증식해서 치명적인 병을 가져오리라 누가 상상이나 했겠습니까? 더욱이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종 사이에 장벽이 있다고 믿었으므로 그 장벽을 뛰어넘어 발병하리라는 생각은 하지 못했습니다. 처음에는 위험성과의 연관관계를 몰랐다가 나중에야 치명적인 위험이 있음을 알게 된 것입니다. 안전한지 확실하지 않은데 위험성이 없다고 간주해버린 것이 어떤 결과를 낳을 수 있는지 보여 주지요. 이러한 교훈을 볼 때 유전자조작은 매우 염려가 됩니다. 전혀 예상하지 못한 결과가 얻어질지도 모르니까요.

출처 : http://blog.aladin.co.kr/common/popup/printPopup/print_Paper.aspx?PaperId=2241446

'Thin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석헌이 말하는 종교란  (0) 2013.04.02

Everyday 2013. 3. 15. 16:05

직관의 힘!

'Everyd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헛........  (0) 2013.05.19
아놔  (3) 2013.04.02
아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  (0) 2012.06.22
2012/5/5  (0) 2012.05.05
외할아버지 상 당하시다  (0) 2012.02.20

JIT

Learning stuff 2013. 3. 5. 21:38

A JIT compiler runs after the program has started and compiles the code (usually bytecode or some kind of VM instructions) on the fly (or just-in-time, as it's called) into a form that's usually faster, typically the host CPU's native instruction set. A JIT has access to dynamic runtime information whereas a standard compiler doesn't and can make better optimizations like inlining functions that are used frequently.

This is in contrast to a traditional compiler that compiles all the code to machine language before the program is first run.

To paraphrase, conventional compilers build the whole program as an EXE file BEFORE the first time you run it. For newer style programs, an assembly is generated with pseudocode (p-code). Only AFTER you execute the program on the OS (e.g., by double-clicking on its icon) will the (JIT) compiler kick in and generate machine code (m-code) that the Intel-based processor or whatever will understand.

CPU Bound, I/O Bound, Memory Bound, Cache Bound

Learning stuff 2013. 3. 5. 20:27

CPU Bound means the rate at which process progresses is limited by the speed of the CPU. A task that performs calculations on a small set of numbers, for example multiplying small matrices, is likely to be CPU bound.

I/O Bound means the rate at which a process progresses is limited by the speed of the I/O subsystem. A task that processes data from disk, for example, counting the number of lines in a file is likely to be I/O bound.

Memory bound means the rate at which a process progresses is limited by the amount memory available and the speed of that memory access. A task that processes large amounts of in memory data, for example multiplying large matrices, is likely to be Memory Bound.

Cache bound means the rate at which a process progress is limited by the amount and speed of the cache available. A task that simply processes more data than fits in the cache will be cache bound.

I/O Bound would be slower than Memory Bound would be slower than Cache Bound would be slower than CPU Bound.

The solution to being I/O bound isn't necessarily to get more Memory. In some situations, the access algorithm could be designed around the I/O, Memory or Cache limitations. See Cache Oblivious Algorithms.

'Learning stuff'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세스 정의, 정리(개념 및 종류)  (0) 2013.04.10
JIT  (0) 2013.03.05
멀티스래딩, 다중 프로세서 : Multithreading, chip Multiprocessors  (0) 2013.03.05
cmp simulator  (0) 2013.03.05
Event-driven simulation  (0) 2013.03.05

멀티스래딩, 다중 프로세서 : Multithreading, chip Multiprocessors

Learning stuff 2013. 3. 5. 14:10

프로세서의 성능 평가 척도
- 명령어를 실행하는 비율(rate)이며 'MIPS rate = f x IPC'로 표현된다. 여기서 f는 프로세서 클록 주파수이며 IPC(instructions per cycle)는 사이클 당 실행되는 명령어들의 평균 수를 나타낸다.
- IPC를 높이기 위한 방법 : 명령어 수준 병렬성을 이룬다. 명령어 파이프라인, 수퍼스칼라, 그리고 멀티스래딩을 통해.

멀티스래딩(multithreading)의 정의
 - 명령어 스트림(thread)의 병렬적 실행. 멀티스래드 프로세서 내의 스래드는 소프트웨어 스래드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 응용 프로그램에게 보이는 user level 스래드와 OS에게만 보이는 kernel level thread는 모두 명시적(explicit) 스래드이며 모든 상용 프로세서와 대부분의 실험용 프로세서는 명시적 스래드를 사용한다.
- 묵시적(implicit) 멀티스래딩은 하나의 순차적 프로그램으로부터 추출한 다수의 스래드를 동시해 실행하는 것을 뜻하며, 컴파일러에 의해 정적으로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동적으로 정의된다.

명시적 멀티스래딩의 방법
- 멀티스래드 프로세서는 동시에 실행될 각 스래드를 위해 별도의 Program Counter가 제공어야 하며, 넓게 보아 네가지 주요 방법이 존재한다.

interleaved multithreading
프로세서는 한번에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스래드를 다루며, 각 클록 사이클마다 어느 한 스래드로부터 다른 스래드로 스위칭한다. fine-grain multithreading이라고도 한다.

blocked multithreading
스래드의 명령어들은 cache miss와 같이 latency를 유발하는 사건이 발생할 때까지 연속해서 실행되고, 사건 발생 시 다른 스래드로 스위치된다. coarse-grain multithreading이라고도 부른다.

simultaneous multithreading: SMT
명령어들이 다수의 스래드로부터 수퍼스칼라 프로세서의 실행 유닛들로 동시에 발송(issue)된다. 넓은 수퍼스칼라 명령어 발송 능력과 다수의 thread context의 결합 형태이다. intel사의 Hyperthreading은 두 개의 스래드를 지원하는 SMT이다. 

chip multiprocessing
전체 프로세서가 하나의 칩에 중복되어 들어가며, 각 프로세서는 별도의 스래드들을 처리한다. 파이프라인 설계에서 복잡도가 증가되는 것과는 상관없이 칩 상의 이용 가능한 영역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multicore(또는 chip level multiprocessing; CMP)가 여기에 속한다(?).

스칼라 프로세서의 경우
- 멀티스래딩을 지원하지 않는 단일 스래드 스칼라, interleaved multithreaded scalar, blocked multithreaded scalar가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중 명령어 프로세서의 경우
- multithreading을 지원하지 않는 수퍼스칼라, 의존성으로 인해 사이클 당 발송 가능 명령어 수가 제한 받는 interleaved multirheading 수퍼스칼라, blocked multithreaded 수퍼스칼라, 단일 word에 여러 명령어가 담기도록 컴파일러에 의해 구성되는 VLIW(Very Large Instruction Word), interleaved multithreading VLIW, blocked multithreaded VLIW가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러 스래드의 병렬적, 동시적 실행의 경우
- simultaneous multithreading, (그림의 경우) 각기 2-발송 수퍼스칼라 프로세서이자 각각의 스래드가 사이클 당 두 개의 명령어 발송이 가능한 chip multiprocessor가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Learning stuff' 카테고리의 다른 글

JIT  (0) 2013.03.05
CPU Bound, I/O Bound, Memory Bound, Cache Bound  (0) 2013.03.05
cmp simulator  (0) 2013.03.05
Event-driven simulation  (0) 2013.03.05
trace_driven 이란  (0) 2013.03.05

cmp simulator

Learning stuff 2013. 3. 5. 13:22

Getting started with PTLSim : 

 http://www.ptlsim.org/Documentation/html/node17.html#SECTION04210000000000000000


PTLSim guidance : http://www.ptlsim.org/Documentation/PTLsimManual.pdf


Computer Architecture Simulator : http://en.wikipedia.org/wiki/Computer_architecture_simulator





Event-driven simulation

Learning stuff 2013. 3. 5. 11:12

Event-driven simulation

If events aren't guaranteed to occur at regular intervals, and we don't have a good bound on the time step (it shouldn't be so small as to make the simulation run too long, nor so large as to make the number of events unmanageable), then it's more appropriate to use an event-driven simulation. A typical example might be simulating a lineup at a bank, where customers don't arrive at regular time intervals, and may be deterred by a long lineup.

This approach uses a list of events that occur at various time, and handles them in order of increasing time. Handling an event may alter the list of later events. The simulation makes time ``jump'' to the time of the next event.

How do we stop? Again, we can stop when time reaches a certain point, or when the system reaches a certain state. Here is a generic event-driven algorithm:

  1. Initialize system state
  2. Initialize event list
  3. While (simulation not finished)
    1. Collect statistics from current state
    2. Remove first event from list, handle it
    3. Set time to the time of this event.

How is the list of events managed? It should be ordered by increasing time (a priority heap might be efficient). We don't generate all the events in the list at the beginning (this would be analogous to knowing the entire sequence of states of the simulation at the outset). Instead we initialize the simulation with certain events, with their associated times. Certain events may be handled by scheduling later events, which are inserted at the appropriate place in the event list.

As stated above, we could stop when time reaches or exceeds a certain point, or once the system reaches a certain state (the bank is lined up for two blocks...). Sometimes we want the stopping condition itself to be randomized: we can schedule a random pseudo-event which doesn't change the state of the model, but simply stops the simulation.


참고자료 : http://stdcxx.apache.org/doc/stdlibug/11-3.html

'Learning stuff'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멀티스래딩, 다중 프로세서 : Multithreading, chip Multiprocessors  (0) 2013.03.05
cmp simulator  (0) 2013.03.05
trace_driven 이란  (0) 2013.03.05
(dynamic instruction) vs (static instruction)  (0) 2013.03.04
Interconnect scaling  (0) 2013.03.04

trace_driven 이란

Learning stuff 2013. 3. 5. 11:06

In case of simulations, before it was ready to be installed, many test runs are done to check its robustness. Trace driven simulation is getting the actual data from a real experiment and feeding it to the simulation. The disadvantage is every time the experiment has to be done which is a tedious job, advantage is absolute results.

'Learning stuff' 카테고리의 다른 글

cmp simulator  (0) 2013.03.05
Event-driven simulation  (0) 2013.03.05
(dynamic instruction) vs (static instruction)  (0) 2013.03.04
Interconnect scaling  (0) 2013.03.04
Switching techniques  (0) 2013.03.02

(dynamic instruction) vs (static instruction)

Learning stuff 2013. 3. 4. 20:58

The dynamic instruction count is the actual number of instructions executed by the CPU for a specific program execution, whereas the static instruction count is the number of instruction the program has.

We usually use dynamic instruction count as if for example you have a loop in your program then some instructions get executed more than once. Also, in the presence of branches, some instructions may not be executed at all.

'Learning stuff' 카테고리의 다른 글

Event-driven simulation  (0) 2013.03.05
trace_driven 이란  (0) 2013.03.05
Interconnect scaling  (0) 2013.03.04
Switching techniques  (0) 2013.03.02
NoC  (0) 2013.03.02